본문 바로가기
RS-232C통신

[RS-232C통신] 2강. RS-232C 파형 분석

by 아이언벨 2022. 9. 13.
반응형

안녕하세요. 아이언벨입니다.

 

오늘은 RS-232C 파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 


1. 테스트 RS-232C 설정

 

가장 많이 사용하는 설정으로 진행하겠습니다.

 - Baud Rate : 9600

 - Data bits : 8bit

 - Parity : None

 - Stop bits : 1

 - Flow Control : None


2. RS-232C Frame 의 길이

 

- 1bit가 사용하는 길이는 1초에 9600개의 bit를 정송하기 때문에 1/9600 약 0.104ms입니다.

- 1Frame = Start bit (1bit) + Data bits(8bit) + Stop bit(1bit) = 10bit

- 즉 1Frame = 10bit * 0.104ms = 1.04ms 입니다. 그리고 1Frame 에서는 1byte(8bit)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.

 

-Baud Rate가 19200이 된다면 절반인 0.52ms가 됩니다.


3. 이론상 파형

RS-232C Transmission of the letter "I"

- 대문자 "I' 출력 파형입니다.

- "I"는 ASCII 2진 코드로 1001001 입니다.

- IDLE = 0

- START = 1

- B0 ~ B7 = 10010010

- STOP = 0 

 

- 전압은 -12V / +12V 로 출력나옵니다.


4. 오실로스코프로 실제 측정 파형

RS-232C Transmission of the letter "I" <Oscilloscope>

- 스코프로 측정했을 때 이론상 출력 거의 동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- 출력 전압 레벨이 -9V / 9V로 출력 되네요. Tx 하는 Device에 따라 편차는 발생합니다. 

- 테스트 하는 Device의 출력 전압이 다소 낮지만 통신하는데는 문제 없습니다.


5. 연속된 데이터의 오실로스코프 실체 측정 파형

 

RS-232C Transmission of the letter "III"(3byte) <Oscilloscope>

- "III" 3byte 출력 파형입니다.

- 총 파형의 길이는 3.12ms 입니다.


6. 마무리..

 

- 필드에서 RS-232통신이 되지 않았을때는 물리적인 연결 혹은 RS-232셋팅의 문제가 99% 입니다.

- 아주 간혹 RS-232C 출력이 고장 났을때만 위와 같이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고장 유무를 확인합니다.

- 통신모듈이 고장 나는 일이 없기를 바라며, 혹시 고장이 났다면 이 글이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.

 

감사합니다.

반응형

댓글